본문 바로가기

TIL

(6)
TIL : 2023.10.29. 너무 오랜만에 쓰는 TIL이라서 회고가 많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 ] - Today IL은 아니고 며칠전 IL 이지만... (ㅋㅎ) fork & pipe을 이용하여 convolution 연산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과제였다. - 입력 200 * 200, 필터 3 * 3의 컨볼루션 연산을 ******0.0016초****** 에 해냈다 !! 흐흐. 자랑스럽다. 자랑스러워서 자랑하고 싶어서 TIL 에 적는다 .. ㅎ.ㅎ - 초기에 생각했던 방법이 예상처럼 병렬화가 잘 되지 않길래, 그 원인을 조사해보던 중에 아이디어를 얻어 구현했다. 히히. - 연산이 하나의 프로세스에 몰리지 않는 상황. 작은 단위의 일을 과분한 수의 프로세스가 수행하는 상황. 이 두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며 구현했다. 물론 여러 병렬화 방법에..
TIL : 23.10.09. [생각] - 커뮤니티에서 활동하고 싶다. 지금 가장 관심있는 분야인 AI 중심 커뮤니티인 아이펠, IT 프로덕트 메이커들을 위한 오픈 커뮤니티인 디스콰이어트. 커뮤니티에서 거론되는 이야기에 내 생각을 덧붙이는 것도 커뮤니티 참여의 좋은 첫 시작일테다. 나는 과연 커뮤니티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나는 커뮤니티에서 어떤 포지션을 도맡았을때 가장 잘할까? 어떤 커뮤니티에 들어가는게 좋을까? 내 능력과 생각이 명확하다고 느껴지지 않아 막막하다. 하지만 동시에 조금 성급하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을 정리하고 성찰을 하는 동시에 나를 자꾸만 새로운 환경에 던져서 경험을 쌓아야 한다. 경험은 나를 설명하는 좋은 지표가 될 터이니 ... (블로그도 커뮤니티의 일종이지 않을까!! 비관할 필요는 없다!! ㅎㅎ) -..
TIL : 23.10.08. 당일에 작성하지 못하여 다음날 (09일)에 작성한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 코딩을 진행하며 공부했다. 친구와 서로 질문하고 설명하면서 공부했다. 오전에 일정이 있어서 공부를 많이 진행하지 못했다. 관심 분야가 비슷한 친구와 만나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했다. 또한 일주일 뒤 마라톤이 예정되어 있다. . 준비를 잘 해놓아야 겠다.
TIL : 23.10.07. [생각] 너무 차가운 사람이 된 거 같아서 걱정스러워요 .. [공부] - 시스템 프로그래밍 : 어셈블리어 기본 이해 : shell 구조 이해 - 랜덤 프로세스 개론 :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문제집을 풀었답니다. 고등학교 시절 확률과 통계 과목을 선택하지 않았더니 힘드네요. 확실히 내가 완-벽 숙지를 했든 안 했든 바로 내 머릿속에서 꺼내서 적용하기를 연습하니 공부 효율이 많이 올라갔습니다.
TIL : 23.10.05. [생각] "습관" 내용을 완벽하게 숙지하고 난 이후에 과제나 일을 시작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다! 꼼꼼함도 좋지만, 모든것을 100퍼센트 완벽하게 알게되는 날은 오지 않으므로 어느정도 순간에 행동하고 보충해나가자. 속도도 중요한 요소이다! "수학" 오늘 알고리즘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이다. 수학을 잘 해놓자! 고등학교 시절에도 유용한 것을 많이 배웠으니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수학적 표현이 능숙해지도록 연습하고, 익숙해지자. [공부] - 컴퓨테이션이론 내용 복습 및 과제 1. NFA > DFA 변환 2. DFA > GNFA > R.E 변환 >> 내일 pumping lemma 해야함. - 알고리즘 1. 다익스트라, 프림 알고리즘 c++ 구현 과제 완료, 나름의 구현 가이드 제작함. 2. 수업 내..
TIL 23.10.04 [생각] "인공지능 연구 방향?" A 교수님께서는 좋은 도메인을 잘 찾아내는 것에서 출발하여, 문제 정의를 잘 해내고, 그 문제에 적절한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연구를 해야한다고 하신다. B 교수님께서는 도메인에 관한 관점은 우리가 타 전공을 이길 수가 없음. (ex 질병 탐색기의 도메인 지식은 절대 의과 대학을 이길 수 없음.) 그러므로 우리는 인공지능의 성능 개선, 모델 개발 방면으로 연구를 해야함. 흠 ... 정반대의 생각으로 느껴져서 인상깊다. "좋은 개발 습관" 좋은 개발 습관에는 어떤것이 있을까? 하는 고민이 많이 든다. 코드를 짜기 전, 하나하나 그려가며 계획을 완벽히 구성하고 시작하는 개발 습관이 좋은 것일까? 조심성있고, 위험 부담이 줄어드는 안전추구형 개발 방법으로 느껴진다. 개발 속도가 ..